아메리카노
트럼프 대통령이 4월 2일 "미국 해방의 날"을 선포하며 발표한 상호 관세와 이어 몇 차례 극적으로 말을 바꿔가며 부과했다 유예했다, 높였다 낮췄다, 엄포를 놓았다가 또 물러서기를 반복해 온 관세 이야기를 유혜영 교수와 함께 나눴습니다. 팟캐스트에서 언급한 논문이나 자료 링크는 지난 14일 "프린스턴에서 온 편지" 뉴스레터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앞으로 팟캐스트는 최소 월 2회 프린스턴에서 온 편지를 구독해주시는 분들만 들으실 수...
info_outline아메리카노
트럼프 대통령이 4일 밤 의회에서 한 국정 연설, 캐나다와 멕시코, 중국에 부과했다가 이틀 만에 캐나다, 멕시코에는 또 한 달 유예를 선언한 관세 롤러코스터, 그리고 지난주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제가 가장 인상깊게 들은 수상 소감을 모았습니다.
info_outline아메리카노
일주일 만에 올려드리는 아메리카노입니다. 주말판으로 기획한 일론 머스크 이야기를 준비하고 작업하는 데 품이 많이 들다 보니 이렇게 됐네요. 대신 머스크가 트럼프와 만나서 내는 시너지 효과는 무엇인지, 둘은 어디까지 갈지, 아니 도대체 왜 이렇게까지 하는지 궁금할 때 언제든 찾아 들어볼 만한 분석과 이야기들을 두루 담았습니다.
info_outline아메리카노
일론 머스크의 정부효율부(DOGE)가 연방정부 공무원 해고 / 인력 감축 / 퇴직 유도를 계속 이어가는 가운데, 국가핵안보국(NNSA) 직원 350명을 해고했다가 부랴부랴 다시 복직시키는 웃지 못할 일이 벌어졌습니다. 피트 헥세스 국방장관은 앞으로 5년 동안 국방 예산 8%를 감축하겠다고 밝혔는데, 트럼프 대통령의 성에 찰지 모르겠습니다. 조류독감(H5N1) 바이러스가 계속 퍼지는 가운데 치명적인 팬데믹이 또 오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커지고 있습니다. H5N1...
info_outline아메리카노
뮌헨 안보회의에 참석한 J.D. 밴스 부통령이 총선을 앞둔 독일 정치를 향해 ‘선 넘는’ 훈수를 뒀습니다. 예상대로 주요 정당 정치인들은 발끈했고, 앞서 머스크에게도 찬사를 받았던 독일대안당(AfD)은 반색했습니다. 밴스 부통령은 이 발언이 ‘외교적 결례’임을 알면서도, 오히려 그래서 더 노골적으로 메시지를 꺼내들었을지 모릅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마가(MAGA) 세계관을 앞세워 국제정치 무대에서 본격적인 편 가르기를 시작하고 있습니다....
info_outline아메리카노
트럼프 대통령이 푸틴 대통령과 90분간 통화했다고 밝혔습니다. 통화에서 우크라이나 전쟁을 종식할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는데, 우크라이나 젤렌스키 대통령은 통화에 초대받지 못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우크라이나를 배제하려는 게 아니라고 밝혔지만, 협상 테이블이 차려지기만 해도 러시아로서는 고무적인 일이 될 겁니다. 이밖에 상호 관세(reciprocal tariffs) 부과에 관한 행정명령, 일론 머스크의 연방정부 공무원 희망 퇴직 작전, 그리고 2024년...
info_outline아메리카노
트럼프 대통령의 행정명령과 행정부의 행보를 법원이 사사건건 가로막고 있습니다. 행정부와 사법부의 충돌이 어디까지 갈지, 끝내 승리하는 쪽은 어디가 될지 짚어봤습니다. 일론 머스크가 오픈AI의 영리 기업 전환을 막겠다며 갑자기 자신이 오픈AI를 인수하겠다고 제안했습니다. 논의되고 있는 시장 가치를 훨씬 밑도는 제안 가격에 샘 알트만은 단칼에 이를 거절하며, 머스크를 비판했습니다. 정치적 양극화로 그 어느 때보다 심각한 교착상태가...
info_outline아메리카노
미국 정부가 수입산 철강, 알루미늄에 25% 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국가 안보에 중요한 사안에 관해 대통령이 의회의 승인 없이도 직접 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는 1962년 무역확장법 232조를 근거로 삼았습니다. 어제 슈퍼볼 하프타임에서는 래퍼 켄드릭 라마가 또 다른 뮤지션 드레이크를 향해 “세기의 디스”를 펼쳤습니다. 일론 머스크의 정부효율부(DOGE)가 이번에는 소비자금융보호국(CFPB)을 점령했습니다. 머스크가 X를 P2P...
info_outline아메리카노
“아침엔 아메리카노”로 보내드리는 첫 번째 주말판 긴 에피소드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과 동시에 지체 없이 추진한 관세 전쟁의 모든 것을 파헤쳐 봅니다. 관세란 무엇인지, 트럼프표 관세에는 어떤 특징이 있는지, 1기 행정부 때 관세가 실제 효과는 있었는지, 한국은 어떻게 대응하면 좋을지를 두루 살펴봤습니다.
info_outline아메리카노
트럼프 대통령이 가자지구에 사는 팔레스타인 사람들을 이웃나라로 이주시키고, 일대를 휴양지로 개발해주겠다고 제안했습니다. 부동산 개발업자다운 발상이자 담대한 제안이었지만, 지정학적 역사와 정치적인 맥락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현실성 없는 제안이라는 비판이 쏟아졌습니다. 오늘은 트럼프가 외교 정책을 어떤 맥락에서 내놓는지 분석해 봤습니다. 역사학자 제니퍼 미텔슈타트 교수가 뉴욕타임스에 쓴 주권주의(sovereigntism)에 대한 을...
info_outline선거를 이틀 앞두고 아메리카의 정치통, '엄격한 관리자' 유혜영 교수와 함께:) 여론조사와 경합주 상황 위주로 판세를 점검했습니다. 예상대로 선거를 코앞에 둔 시점에서도 해리스와 트럼프 가운데 누가 우세한지가 명확히 드러나지 않는데, 여론조사가 왜 이렇게 나오는지 자세히 짚어봤습니다.
라이브 방송으로 이야기나눈 내용 아무런 편집도 하지 않고 그대로 올립니다. 11월 5일 선거 당일 밤에도 유튜브 아메리카노 채널에서 라이브로 개표방송 진행합니다. 많은 시청 부탁드립니다!!